5.2. 접근성

눈이 불편하다는 등의 이유로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사용자들이 있습니다. USB 점자 디스플레이는 자동 인식하지만(시리얼 USB 변환 장치로 연결된 시리얼 디스플레이는 못 합니다), 대부분의 접근성 기능은 수동으로 활성화해야합니다.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키 입력을 받을 준비가되면 부팅 메뉴가 삑 소리를 냅니다. 그 다음, 접근성 기능을 사용하는 부팅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5.1.7절. “부팅 화면”참조). 대부분의 아키텍처는 키보드를 QWERTY 키보드로 인식하니 주의하십시오.

5.2.1. USB 점자 디스플레이

USB 점자 디스플레이는 자동으로 검색합니다. 텍스트 버전의 설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설치할 시스템에 점자 디스플레이 기능을 자동으로 설치합니다. 부팅 메뉴에서 Enter 키를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brltty를 시작하면 설정 메뉴에 들어가서 점자 테이블을 고를 수 있습니다. 점자 장치에 대한 키 바인딩 문서는 brltty 웹사이트에 있습니다.

5.2.2. 시리얼 점자 디스플레이

시리얼 점자 디스플레이는 자동으로 검색한다고 확신할 수 없습니다. (일부 제품은 자동 검색을 하면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brltty=드라이버,포트,테이블 부팅 파라미터로 brltty에서 사용할 드라이버를 지정해야 합니다. 드라이버는 터미널의 두 글자 드라이버 코드입니다. (BRLTTY 매뉴얼 참고.) 포트는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있는 시리얼 포트의 이름입니다. ttyS0이 기본값이고, 시리얼 USB 변환 장치를 사용한 경우 보통 ttyUSB0을 사용합니다. 테이블은 사용할 점자 테이블의 이름입니다. (BRLTTY 매뉴얼 참고). 기본값은 영어 테이블입니다. 테이블은 나중에 설정 메뉴에 들어가서 바꿀 수도 있습니다. 점자 장치에 대한 키 바인딩 문서는 brltty 웹사이트에 있습니다.

5.2.3. 소프트웨어 음성 합성 장치

소프트웨어 음성 합성 장치는 부팅 메뉴에서 s Enter 키를 눌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맨 처음 (언어에 대한) 질문은 영어로 나오고, 나머지 설치는 (espeak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의 경우) 선택한 언어로 진행됩니다.

5.2.4. 하드웨어 음성 합성 장치

하드웨어 음성 합성 장치는 그래픽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에만 지원합니다. 그러므로 부팅 메뉴의 그래픽 설치 항목을 이용하십시오.

하드웨어 음성 합성 장치는 자동으로 검색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speakup.synth=드라이버 부팅 파라미터로 speakup이 사용할 드라이버를 지정해야 합니다. 드라이버는 사용하는 장치의 드라이버 코드입니다. (드라이버 코드 목록 참고.) 텍스트 버전의 설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설치할 시스템에 음성 합성 장치 기능을 자동으로 설치합니다.

5.2.5. 보드 장치

일부 접근성 장치는 컴퓨터 내부에 연결하는 보드와 비디오 메모리에서 직접 텍스트를 읽습니다. 작동에는 vga=normal fb=false 부팅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프레임 버퍼 지원을 비활성화 해야합니다 . 그러나 이것은 사용 가능한 언어가 줄어 듭니다.

bootloader의 본문버전을 원하시면 입력하는 것은 h하여 boot paramete를 Enter 추가하기 전에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5.2.6. 고대비 테마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설치 프로그램에서 고대비 테마를 사용하면 더 읽기 좋습니다. 고대비 테마를 사용하려면 부팅 파라미터에 theme=dark 파라미터를 붙입니다.

5.2.7. 미리 설정하기

다른 방법으로 미리 설정 기능을 사용해 데비안 GNU/리눅스을 완전히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미리 설정 기능은 부록 B. 미리 설정을 이용한 설치 자동화에 설명되어 있습니다.